본문 바로가기
Server

리눅스 서버 용량 체크

by 코딩박사 2025. 6. 18.
반응형

리눅스에서 서버 용량(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에는 주로 아래 명령어들을 사용합니다:
1.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

df -h

    * df는 디스크 파일 시스템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 h는 human-readable, 즉 MB/GB 단위로 보기 쉽게 출력합니다.
[출력 예시]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40G   15G   23G  40% /
tmpfs           1.9G     0  1.9G   0% /dev/shm

 
2. 특정 디렉터리 사용량 확인

du -sh /경로

    - 예를 들어 /var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보려면

du -sh /var

    * du: 디스크 사용량 (disk usage)
    * -s: 요약만 출력 (총합)
    * -h :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 (KB, MB, GB 등)
 
3. 디렉터리별 상세 사용량 정렬해서 보기

du -sh * | sort -h

    * 현재 디렉터리 내의 폴더/파일 크기를 크기순으로 정렬해서 보여줍니다.
 
4. 가장 많이 사용 중인 상위 디렉터리 찾기

du -ah / | sort -rh | head -n 20

    * / 전체 경로 기준으로
    * 큰 순서로 정렬 (-rh)
    * 상위 20개만 출력.
 
5. ncdu 명령어 (인터랙티브한 디스크 분석 도구)

sudo apt install ncdu     # Debian/Ubuntu 계열
sudo yum install ncdu     # CentOS/RHEL

 
[설치 후 실행]

ncdu /

    * 폴더별로 얼마나 용량을 차지하는지 터미널에서 탐색하며 볼 수 있습니다. 매우 유용합니다.


케이뱅크 2025 슬기로운 방학 생활 지원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https://m.kbanknow.com/banking/k/PJsJZ2b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 이란?  (73) 2025.07.01
OpenSSL 확장을 설치하는 방법  (44) 2025.06.20
Rocky Linux 9 의 Java 17 설치  (11) 2025.06.18
CentOS Linux의 대체 Linux OS?  (6) 2025.06.16
CentOS Linux의 7, 8, 9의 차이  (8) 202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