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딩박사입니다.
이번 강좌는 신호 보내기라는 블록코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신호 보내기는 혼자 쓰이는 블록코딩이 아니고 신호를 받았을때와 같이 쓰는 블록 코딩입니다.
신호 보내기 강좌를 먼저하고 다음은 신호를 받았을때 블록코딩을 이어서 공부를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한 샘플 예제를 보시겠습니다.

- 위 블록 코딩은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때 [대상없음] 신호 보내기를 실행을 합니다.
- [대상없음]이라고 표시된 부분은 어떤 신호를 보낼지는 아직 없는 부분입니다.
- 신호 보내기는 임의로 입력한 신호를 보낼때 쓰는 블록 코딩입니다.
어떤 신호를 보낼지는 아래를 잘 보시길 바랍니다.

- 위와 같이 신호 속성탭을 클릭하고 신호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 그리고 나서 신호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그러면, 위와 같이 신호 이름을 추가할 수있는 입력창이 나옵니다.
- [신호의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라는 입력창에 원하시는 신호 이름을 입력합니다.

- 저는 입력창에 엔트리봇 움직이기라고 입력을 했습니다.
- 그리고, 위와 같이 신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신호 보내기 블록코딩 안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자~ 여러분~ 보이시죠?
저와 여러분이 추가한 엔트리봇 움지이기라는 글이 보이실 겁니다.
이렇게 신호 보내기 블록코딩이 확인 된것입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 하셨습니다.
신호 보내기 블록코딩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이어서 신호를 받았을때 블록코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코딩박사씀.
'엔트리코딩 > 엔트리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탭 → 시작메뉴 → 신호보내고 기다리기 (106) | 2023.07.13 |
---|---|
블록탭 → 시작메뉴 → 신호를 받았을때 (61) | 2023.07.12 |
블록탭 → 시작메뉴 → 오브젝트 클릭을 해제했을때 (44) | 2023.07.08 |
블록탭 → 시작메뉴 → 오브젝트를 클릭했을때 (46) | 2023.07.07 |
블록탭 → 시작메뉴 → 마우스를 클릭을 해제 했을때 (28)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