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트리코딩/엔트리강좌

블록탭 → 시작메뉴 → 장면? 시작하기

by 코딩박사 2023. 7.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박사입니다.

이번 강좌는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을 진행하겠습니다.

순서대로 하자면 장면이 시작되었을때 블록코딩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 블록코딩을 먼저하게 되면 진행이 안되서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을 하고 그다음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에 이미지를 보시면 장면1 시작하기 블록코딩인데요.

장면1옵션으로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장면1이므로 장면1로 표시가 됩니다.

먼저 간단한 샘플 보시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 이미지의 블록코딩은 3번째 블록코딩까지는 자주 등장하는 블록코딩입니다.

그래서, 3번째 블록코딩까지는 별도로 설명을 하진 않겠습니다.

아직도 못 보신분들은 지난 강좌를 먼저 본 후 본 강좌를 보시길 바랍니다.

출처 : 엔트리

 

위 이미지는 장면1 시작하기 블록코딩으로 해당 블록코딩 진행시

장면1 화면을 시작하기 라는 블록코딩입니다.

옵션은 장면을 추가할때마다 여러개 셀렉트박스 부분에 표시가 되며, 원하시는 장면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장면을 추가 해 보겠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 이미지에 왼쪽 상단 부분에 플러스(+) 클릭하시면

출처 : 엔트리

 

위 이미지와 같이 장면2가 표시됩니다.

그러면 실제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에 추가 되었는지 보시겠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와 같이 장면2를 추가하게 되면,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 옵션에 장면2가 나타나게 됩니다.

출처 : 엔트리

 

그러면, 위에 처음 샘플 예제에서 마지막 블록코딩의 옵션이 장면2로 변경이 됩니다.

샘플 예제를 실행해 보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하시죠? ^^

첫번째 블록코딩부터 세번째 블록코딩까지는

출처 : 엔트리

 

위와 같이 장면1 에서 시작하고

출처 : 엔트리

 

위와 같이 장면1에서 10번 반복하면서 10만큼 이동한 후

출처 : 엔트리

 

위와 같이 장면2로 화면이 바뀌게 됩니다.

짜짠~ 어떻습니까요?

어렵지 않죠?

이 다음 강좌에서는 이어서 장면이 시작되었을때 블록코딩을 진행하겠습니다.

모두모두 수고 하셨습니다.

그럼, 이만

코딩박사 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