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딩박사입니다.
이번 강좌는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을 진행하겠습니다.
순서대로 하자면 장면이 시작되었을때 블록코딩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 블록코딩을 먼저하게 되면 진행이 안되서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을 하고 그다음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이미지를 보시면 장면1 시작하기 블록코딩인데요.
장면1은 옵션으로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장면1이므로 장면1로 표시가 됩니다.
먼저 간단한 샘플 보시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이미지의 블록코딩은 3번째 블록코딩까지는 자주 등장하는 블록코딩입니다.
그래서, 3번째 블록코딩까지는 별도로 설명을 하진 않겠습니다.
아직도 못 보신분들은 지난 강좌를 먼저 본 후 본 강좌를 보시길 바랍니다.

위 이미지는 장면1 시작하기 블록코딩으로 해당 블록코딩 진행시
장면1 화면을 시작하기 라는 블록코딩입니다.
옵션은 장면을 추가할때마다 여러개 셀렉트박스 부분에 표시가 되며, 원하시는 장면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장면을 추가 해 보겠습니다.

위 이미지에 왼쪽 상단 부분에 플러스(+) 클릭하시면

위 이미지와 같이 장면2가 표시됩니다.
그러면 실제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에 추가 되었는지 보시겠습니다.

위와 같이 장면2를 추가하게 되면, 장면? 시작하기 블록코딩 옵션에 장면2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면, 위에 처음 샘플 예제에서 마지막 블록코딩의 옵션이 장면2로 변경이 됩니다.
샘플 예제를 실행해 보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하시죠? ^^
첫번째 블록코딩부터 세번째 블록코딩까지는

위와 같이 장면1 에서 시작하고

위와 같이 장면1에서 10번 반복하면서 10만큼 이동한 후

위와 같이 장면2로 화면이 바뀌게 됩니다.
짜짠~ 어떻습니까요?
어렵지 않죠?
이 다음 강좌에서는 이어서 장면이 시작되었을때 블록코딩을 진행하겠습니다.
모두모두 수고 하셨습니다.
그럼, 이만
코딩박사 씀.
'엔트리코딩 > 엔트리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탭 → 시작메뉴 → 이전 또는 다음 장면시작하기 (148) | 2023.07.24 |
---|---|
블록탭 → 시작메뉴 → 장면이 시작되었을때 (117) | 2023.07.20 |
블록탭 → 시작메뉴 → 신호보내고 기다리기 (106) | 2023.07.13 |
블록탭 → 시작메뉴 → 신호를 받았을때 (61) | 2023.07.12 |
블록탭 → 시작메뉴 → 신호 보내기 (56)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