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딩박사입니다.
이번 강좌는 흐름메뉴에 <모든> 코드 멈추기 블록입니다.

출처 : 엔트리
위 <모든> 코드 멈추기 블록은 <모든> 이라는 옵션에 선택된 부분의 코드를 멈추는 블록코딩입니다.
다음과 같이 예제를 살펴 보겠습니다.

출처 : 엔트리
기존 샘플 예제보다는 블록이 조금 더 많아지긴 했지만, 블록단위로 천천히 설명을 드리면 쉽게 이해 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 블록은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때 다음 블록을 실행하는 부분입니다.

출처 : 엔트리
위 블록은 계속 반복하기 블록입니다.
무한 반복한다는 의미입니다.

출처 : 엔트리
그 다음 블록은 이동 방향으로 10만큼 엔트리봇이 움직입니다.
이동 방향은 어디서 설정할까요?

1. 첫번째 빨간 박스
- 이동 방향 설정은 위 그림에 빨간 박스 부분에 숫자를 입력하시면
원하시는 이동 방향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이동방향 설정]
- 오른쪽 : 90.0
- 왼쪽 : 270.0
- 윗쪽 : 0.0
- 아랫쪽 : 180.0
2. 두번째 빨간 박스
- 엔트리봇이 움직이는 회전방식은 위 그림에 빨간 부분을 선택해야
보이는 화면 끝 부분에 닿았을때 엔트리봇이 오른쪽에서 왼쪽 모양으로 모습이 바뀝니다.
- 만약, 회전방식을 기본으로 하시면 엔트리봇이 뒤집힌 모양으로 움직입니다.

출처 : 엔트리
엔트리봇이 움직이면서 보이는 화면 끝에 닿으면 튕기기를 실행합니다.
그럼, 보이는 화면 끝은 어디인지 궁금하시죠?

출처 : 엔트리
위 그림을 보시면 이동방향에 대한 양쪽 끝 빨간 세로라인 부분이 화면 끝쪽입니다.
저 부분이 엔트리봇이 닿으면 반대로 튕겨서 계속해서 움직입니다.

출처 : 엔트리
그 다음 블록인 만일 <참>(이)라면 블록에서 <참> 옵션에 조건이 맞으면 그 안에 블록이 실행됩니다.
만약, 조건이 맞지 않으면 그 안에 블록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참>인 부분에 옵션은 판단메뉴 안에 블록들을 넣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엔트리
판단 메뉴에 블록인 키가 눌러져 있는가? 블록에 <스페이스> 옵션 부분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러면, 스페이스 키가 눌러져 있는가?를 물어봅니다.

출처 : 엔트리
<스페이스> 옵션에 선택 부분은 위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옵션에 기본은 <q>가 먼저 선택되어져 있습니다.

출처 : 엔트리
위 블록인 <모든> 코드 멈추기는 옵션 부분에 선택되어지는 부분에 모든 코드를 멈추는 블록입니다.

출처 : 엔트리
코드 멈추기 옵션중에 저는 기본 선택인 <모든> 부분을 선택 하였습니다.
다른 부분을 선택하면 그 부분의 코드 멈추기를 합니다.
지금까지 블록단위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부분을 전체적으로 합쳐서 말씀을 드리자면,
시작하기 버튼을 클륵했을때, 그 다음 블록인 계속 반복하기를 합니다.
계속 반복하기 블록안에 다음 블록인 이동방향(오른쪽)으로 10만큼씩 엔트리봇이 움직입니다.
계속해서 엔트리봇이 움직이면서 보이는 화면끝에 닿았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화면 끝에 닿았으면 엔트리봇이 반대로 모양을 바꾸면서 진행 방향이 반대로 계속해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 블록인 <스페이스>키가 눌러져 있는가?를 물어봅니다.
만약, <스페이스>키가 눌러졌으면, 그 다음 블록인 <모든> 코드 멈추기를 실행합니다.
즉, 엔트리봇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모든 블록을 종료합니다.
다음과 같이 실제 실행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엔트리

출처 : 엔트리

출처 : 엔트리

출처 : 엔트리

출처 : 엔트리

출처 : 엔트리
여기까지는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엔트리봇이 오른쪽에서 왼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속해서 움직입니다.

출처 : 엔트리
어느 순간 스페이스 키를 누르면, 엔트리봇이 정지합니다.
자~ 여기까지 잘 따라 하셨나요?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엔트리 강좌를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보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딩박사 씀.
'엔트리코딩 > 엔트리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탭 → 흐름메뉴 → <자신>의 복제본 만들기 (1408) | 2023.09.12 |
---|---|
블록탭 → 흐름메뉴 → 처음부터 다시 실행하기 (1140) | 2023.09.05 |
블록탭 → 흐름메뉴 → <참>이(가) 될 때까지 기다리기 (822) | 2023.08.27 |
블록탭 → 흐름메뉴 → 만일 <참>이라면, 아니면 (666) | 2023.08.22 |
블록탭 → 흐름메뉴 → 만일 <참>이라면 (593) | 2023.08.18 |